물류 시설 이란 제품이 소비자에게로 수송 및 배송 활동으로서,
제품창고로부터
제품을 출고, 배송센터까지의 수송, 배송센터로부터 각 대리점이나
고객에게 배송되는 작업 등 일반과 자동화 물류가 이루어지는 시설을
말한다.
(지구단위,개발행위)
화주
- 검품, 입고, 보관, 피킹, 분류, 유통가공, 출고까지 다양한 작업에
배정된 용량의 총합으로 결정
- 위의 개별적 작업공정에 대한 물동량 추정이 우선(장기간의 물동량
변화 추세 고려)
- 물동량 고점과 저점 용량 고려
- 다양한 랙(팔레트 랙, 하이 스택 랙, 드라이브 인 랙, 모빌 랙 등)
설치 고려
- 랙의 크기, 용기 선택, 로케이션 관리 등
- 물류 동선 패턴에 대한 결정
- 랙 설치 방향 결정
- 추후 확장 가능성 고려
- 각종 물류설비(지게차, 스태커 크레인 등) 대수, 트럭 대차와 입출고
바닥 면 조정 등
- 입출고 물량과 도착 트럭에 대한 작업시간 할당, 보관 위치 파악을
통한 입출 고 물량의 이동 거리 조정 등
- 생산지 및 소비지 인접성 검토
- 교통상황 및 도로 근접 여부 검토
- 물류단지(복합물류 터미널, 공동집배송센터 등)_에 입주 가능
검토
- 임대 또는 구입지가 및 관계법 검토
- 토지의 물리적 상태 검토
- 주변 환경(주민 및 종업원 모집 가능 여부) 검토
- 확장 가능성 검토
- 임대료 곡선 : 지불할 수 있는 최대임대료는 제품의 시장 가격과
소비지까지 운송비의 차이라고 정의하고, 지불 능력이 커질수록 도심
가까운 곳이나 주요 교통망을
따라 위치
- 총비용 비교법 : 물류센터 건설비, ,운송비, 재고유지비 등을 합한
총비용이 최소가 되는 지역에 입지 선정
- 톤·킬로 법 : 각 수요지에서 물류센터까지의 거리와 운송량에 대해
톤·킬로로 평가하고 가장 최소가 되는 입지 선정
- 브라운 앤드 깁슨(Brown & Gibson) 법 : 물류센터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들을 필수적 요인(인력확보 용이성, 지역사회 호응도,
교통 편리성 등), 객관적 요인
(원자재, 판촉비, 인건비, 건축비, 세금 등), 주관적 요인(노조 문제)
등으로 구분하고 반영 비율에 의해 계산한 후 입지 선정
- 무게 중심법 : 공급지와 수요지가 고정되어 있고, 각 공급지로부터
단일 물류 센터로 반입되는 물동량과 그 물류센터로부터 각 수요지로
반출되는 물동량이 정해져 있는
경우 각 지점과 물류센터와의 거리에 거리당 물동량을 곱하여
중심위치에 입지 선정